전체 글
# 210906 TIL
장기현장실습 PLSnote 개발 환경 setting Docker 란..? + 설치 Sql 파일 압축 해제(?) 해서 plus-server 폴더에 추가 Readme.md와 plsnote 중간 점검 파일 보며 설치 진행 Sql 사용을 위한 mysql 설치 (brew install mysql) Max_allowed_packet size 변경 docker-compose exec web bin/rails db:drop db:create cat ./tasktalk-2021-08-04.sql | docker-compose exec -T db mysql -pthe-greatest-root-password-ever -u root plsnote_development docker-compose exec web bin/rai..
# 210902 TIL
장기현장실습 대표님과 미팅 웹 서비스는 크게 두가지 (띵동, plsnote) 띵동은 배달 대행 서비스로, 사용자 웹/앱은 react-native / 어드민 페이지 프론트는 react.js, 백은 node.js + mongoDB Plsnote는 기업 관리 시스템으로, 프론트는 javascript(es6) + stimulus.js, 백은 ruby on rails Plsnote는 이해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gitlab의 plus-server 위키 보며 이해하기 Plsnote 개발 환경 설치 > plsnote 중간 점검 자료 참고 Gitlab.com (x) -> gitlab.mintech.kr (o) 새로 가입 후 프로젝트 초대 완료 PLSnote 개발 환경 setting Docker 설치 gitlab에서 p..
# 210901 TIL
장기현장실습 기본 setting Vscode 설치 Git fork 설치 및 가입 Gitlab 가입 (프로젝트 초대 받아야 하는 상태) Microsoft teams 설치 및 가입 MacOS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Inflearn 민트기술 그룹 멤버로 가입 띵동 이슈 토의 인턴분과 같이 띵동 이슈 중 하나인 다른 서비스에서 '메뉴정보 불러오기 시 기존 메뉴 삭제하기 기능 추가'에 대해 이야기함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모달이 뜨고 나서 적용되야할 함수가 있음 현재 모달이 antd에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만들어서 모달 내부의 버튼에 접근이 어려움 새로운 버튼을 추가해서 그 버튼을 클릭했을 때 새로운 모달이 뜨도록 구현 가능하나, 이 부분은 좀 더 논의가 필요 인프런 강의 수강 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인프런]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URI와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URI의 개념과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에 대해 알아보자. URI Uniform: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Resource: 자원 = 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 (제한 없음) Identifier: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데 필요한 정보 URI는 URL과 URN을 포함한다. URL은 리소스가 있는 위치가 지정되어 있고, URN은 리소스에 이름을 부여하는 것이다. URN 이름으로만 실제 리소스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보편화 되어있지 않아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URI를 URL과 같은 의미로 봐도 무방하다. URL 분석 https://www.google.com/search?q=hello&hl=ko scheme://[userinfo@]host[:port][/path][?query][#fr..
[인프런]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인터넷 네트워크)
웹이나 HTTP도 인터넷 네트워크 망을 기반으로 동작하기에 기초 지식을 배워보자! 인터넷 통신 인터넷에서 컴퓨터 둘은 어떻게 통신할까? 그냥 케이블 연결해서 하면 되지 않아? 그럼 엄청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들 (해외에 있다면?) 어떻게 통신해? 인터넷을 통해 전달을 하려하는데 인터넷은 되게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여러 규칙들에 의해 전달된다. 그럼 그 규칙은 무엇일까? IP (인터넷 프로토콜) 그 규칙은 IP 즉,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클라이언트(나)와 서버(친구)에게 각각 다른 IP 주소를 부여한다. 인터넷 프로토콜의 역할은 지정한 IP 주소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 때,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를 사용한다. IP 패킷에는 출발지 IP, 목적지 IP, 기타 내용..